리액트 란?
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이다. 그럼 리액트가 필요한 이유는 뭘까?
- Component(컴포넌트)
- 페이지마다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들을 따로 빼서 관리 - 컴포넌트화 방식
- 중복코드를 방지할 수 있다.
- 컴포넌트 기반의 UI 라이브러리
- 선언형 프로그래밍
- 명령형 프로그래밍인 Jquery와는 다르게 선언형 프로그래밍으로 코드를 간단히 줄일 수 있다.
- 명령형 - 결과에 대한 과정을 하나하나 나열하는 것 / 선언형 - 목적을 분명히 한 것
- Virtual DOM
- 브라우저는 이벤트 하나를 실행할 때마다 새로운 돔을 형성하게 된다.
- 예를 들어, 버튼하나를 눌러 여러 이벤트를 실행시키더라도 실상은 버튼하나를 눌렀을 때 이벤트의 개수만큼 돔 요소가 추가되어 브라우저 동작을 하고 있다. -> 성능저하원인
- 가상의 돔을 만들어 버튼 하나를 눌러도 돔이 한 번만 생성되어 이벤트가 한꺼번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하여 성능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.
※ 여기서 DOM이란?
- 브라우저가 실제로 사용하는 객체
- 웹 브라우저가 html을 틀의 형태로 변환시켜놓은 객체 형식
1. 빈 폴더하나 생성
원하는 경로에 빈 폴더 하나를 생성한다.
2. intellij 실행
- 인텔리제이에서 위에서 만든 폴더를 불러온다.
- 터미널에서 리액트에 필요한 실행환경과 패키지를 확인한다. -> 제대로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하고 올 것
참고링크 = https://connect00t.tistory.com/3
[React] 리액트 시작 전 Node.js 설치
1. Node.js Node.js란 이름만 보면 자바스크립트 종류 중 하나의 언어로 착각할 수 있지만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. 'javascript로 만든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가 아닌 곳에서도 프로그램을 실행시
connect00t.tistory.com
3. create-react-app
리액트를 사용하여 개발하려면 배워야 할 기술들이 많다. 대표적으로 바벨, 웹픽 등이 있는데 이런 기술들을 당장 배우지 않아도 쓸 수 있도록 CLI(커멘트 라인 인터페이스)라는 도구를 사용한다.
npx create-react-app 프로젝트명
※ 아래와 같이 오류가 날 경우, 폴더명 생성 시 대문자가 아닌 소문자로 변경 필요.
정상적으로 설치가 되면 폴더 정리를 먼저 해주자.
위와 같은 과정을 거쳤다면 프로젝트 안에 폴더가 생기고 그 폴더 안에 설치된 파일들이 들어가 있을 텐데 설치된 파일들을 꺼내 프로젝트 밑으로 넣어주고 빈 폴더가 된 것은 지우면 된다.
우리는 여기서 package.json 파일로 들어가 간단하게 살펴보자.
- 맨 위 name은 프로젝트 이름이 적혀있다.
- dependencies에는 패키지들의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.
- scripts는 npm을 사용하여 리액트 실행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다.
이제 리액트를 실행해 볼 텐데 터미널에 npm start를 입력해 주면..? 끝
npm start
실행하는 방식을 알았으니 필요 없는 소스들을 제거 후, 만들고 싶은 프로젝트를 만들면 된다.
필요 없는 소스들은 적어놓을 테니 삭제 후 사용하자(필수 X)
- public
- favicon.ico
- loggo192.png
- logo512.png
- manifest.json
- src
- App.texs.js
- logo.svg
- reportWebVitals.js
- setupTests.js
'리액트(React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JSX (0) | 2023.02.28 |
---|---|
[React] 리액트 시작 전 Node.js 설치 (0) | 2023.02.06 |